연구분야/향토사랑

사립옥성학교

구슬뫼 2021. 10. 22. 17:17


1910년대 주산면에 사립옥성학교(私立玉成學校)라는

신식교육기관이 있어 신지식 및 애국정신 등을 교육하였다.

그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옥성학교 설립의 시대적 배경

  1)()주도 신식교육의 시작

우리나라 최초의 신식교육은 1883(고종20) 원산에 개화파 관료인 덕원부사(德源府使,鄭顯奭)가 지역민들과 원산상회소(商會所) 회원들의 요구에 따라 설립한 원산학사(元山學舍)를 시작으로

조정에서는 같은 해(1883) 동문학(同文學)을 세우고, 1886년에는 육영공원(育英公院)을 세워 미국인 교사를 초빙하여 상류층 자제들을 교육하였으며 1894년 갑오개혁이후 예조를 폐지하고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신설되어 교육을 주관하면서 18952교육입국인서(敎育立國認書)’를 선포하여 영재교육의 시급함을 강조하고 소학교와 사범학교를 세워 신분에 구애됨 없이 인재를 양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1895년부터 1905년까지 서울에 10개교, 지방에 50개교의 소학교가 설립되었다.

 

  2)민간주도 신식교육

한편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사립학교를 세웠으며, 일부 선각자(先覺者)들은 전통유교에 대한 비판으로 실학사상과 국권(國權)회복을 위해 독립정신을 가르치는 등 민족계(民族系) 사학(私學)을 펼쳤으니 그때 세운 기독교계통학교는 1886년 배재학당(培材學堂)을 비롯해 1908년까지 36개교, 민족계 사립학교는 1895년 흥화(興化)학교를 시작으로 1909년까지 54개교에 이르렀다.

이때 사립학교의 특징은 신문화의 접촉이 쉬운 서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서북부지역에 많이 세워졌고, 그중 상당 수 학교들이 교육과 연계한 구국운동으로 지방별 학회와 교육단체를 조직하여 민족정신과 항일사상을 고취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교육단체들로 서우(西友)학회, 태극(太極)학회, 호남(湖南)학회, 여자교육회, 흥사단(興士團) 등을 들 수 있다.

 

2.보령지역의 신식교육

전국적으로 신식교육의 풍조가 번져나가자 우리 지역에도 뜻있는 선각자들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사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그중 옥산학당과 보령학당은 남포군과 보령군 등 군청소재지에 세웠으나 옥성학당은 일반지역에 세운 것이 특이하다,

학교명 설립연도 위치 비고
당초 변경
玉山學堂 사립남포학교 1905 남포면
읍내리
1918년 남포공립
보통학교로 변경
保寧學堂 사립보령학교 1906 주포면
보령리
1918
주포사립
보통학교로 변경
玉成學堂 사립옥성학교 1911 주산면
야룡리
1918년 폐교
일부학생은 화정공립보통학교로 편입됨

 

3.사립옥성학교

.학교명 : 사립옥성학교(私立玉成學校)

.위 치 : 보령시 주산면 야룡리 306번지(마을명 새터말)

            당시에는 남포군 습의면 야관리(藍浦郡 習衣面 野館里)

.개 교 : 1911.5.26.

.폐 교 : 1918.3.25.

.학 년 : 4년제, 예비반, 1,2,3,4 학년

            예비반을 두고 이를 거쳐 1학년에 입학함.

 

.학생수

학년당 1015명으로 전체 65명 정도.

폐교당시 일부 학생들이 화정공립보통학교에 편입되었고 그 명단은 다음과 같다.

남정진(南廷振, 3학년), 김창수(金昌洙, 3학년), 최태옥(崔泰玉, 2학년), 정문영(鄭文永, 2학년),

지봉석(池鳳錫, 2학년), 이순우(李順雨, 1학년), 이상천(李相千, 예비반)

 

.교과목

국한문(國漢文), 일어(日語), 산술(算術)을 기본으로 하고 서도(書道), 역사(歷史), 체조(體操), 창가(唱歌) 등도 가르쳤다.

서취(書取, 받아쓰기)를 많이 하였고 강(, 배운 글 외우기)를 하여 잘한 학생에게 시상(施賞)하기도 하였는데 상품으로 백지(白紙)를 주었다.

 

.학 비

매월 월사금(月謝金) 1015전을 받았고 예비반은 면제하였으며 독지가 이승우(李承雨, 주산면 삼곡리 거주)는 사재를 희사하여 학교재정을 돕고 가난한 학생의 학비를 지원해주었음.

 

.교 사

  임시재(任是宰, 果齋) 1880. 3. 24일생, 주산면 111번지에서 출생, 9세때부터 주산정사(珠山精舍)라는 사숙(私塾)     에 취학하여 사서삼경(四書三經)을 배웠고, 1903년 경남관찰부 주사로 근무하였다. 국한문, 산술, 서도 등을 가르쳤다.

  ○채용석(蔡龍錫, 雲堂), 1890. 9. 2일생, 제주도 출신으로 직업이 측량기수(測量技手)였는데 주산면 삼곡리 이승우     (李承雨)댁에 살면서 일어(日語), 체조(體操), 창가(唱歌) 등을 가르치다가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승규(李承圭, 滄東), 1882. 9.25일생, 주산면 증산리 245번지에서 출생, 한학에 탁월하여 한문과 역사를

     가르쳤고, 나중에 휘문(徽文)고등보통학교 교유(敎諭)30년간 교육자의 길을 걸었다.

.교사(校舍): 대청 1, 1, 부엌, 측간, 헛간(초가)

   ※대지는 약 300평으로 임정희(任廷喜)의 소유였으며 옥성학교 설립 이전에도 주산정사(珠山精舍)라는 사숙(私塾)이    있어 임설교(任卨教)가 서생들을 가르쳤다. 옥성학교가 있던 곳에 유지비를 세워 지금도 전하고 있다.

 

카.수학자명단

성명 주소 성명 주소
任亨彬 주산면 금암리 朴性悅 주산면 야룡리
白元基 " 李尙範 주산면 주야리
崔泰玉 " 李錫範 "
池鳳鎬 " 金昇元 "
朴性鶴 주산면 야룡리 朴性吉 주산면 신구리
尙榮植 " 李鍾淵(哲源) 주산면 증산리
張午鎭 " 朴台鉉 주산면 증산리
任定宰 " 李相勳 주산면 삼곡리
尙春植 " 朴商圭 전북 완주군
용진면 윤중리
尙敦植 " 任學淳 주산면 삼곡리
任洛鎬 " 李相千 주산면 동오리
李廷熙 주산면 삼곡리 徐丙喜 주산면 창암리
南廷振 주산면 황률리 兪相濬 주산면 황률리
金昌洙 주산면 금암리 任東吉 "
鄭文永 " 朴昌文 주산면 야룡리
池鳳錫 주산면 황률리 任碩宰 주산면 황률리
任乙淳 주산면 금암리 任永宰 "
鄭禹永 주산면 창암리 任奎宰 "
李相臣 주산면 삼곡리 金儆濟 주산면 야룡리
朴興圭 주산면 야룡리 金台濟 "
朴靈雨 주산면 삼곡리 崔鳳圭 주산면 창암리
朴性喆 주산면 야룡리 朴性澤 주산면 주야리
李鎔泰 주산면 창암리 任能宰 "
李順雨 주산면 삼곡리 李奉圭 주산면 야룡리
李濂雨 주산면 삼곡리 兪明濬 주산면 황률리
金亮鉉 주산면 유곡리 金東鶴 서천군 문산면 신농리

 

4.사립옥성학교에 관한 자료의 작성자

성명 : 임재혁(任在爀)

1927.12.14. 주산면 야룡리 출생

1941년 전주사범졸업

재학중 우리회’ ‘석류회등 단체 가입하여 항일 운동하였고

1945.2.5. 검거 전주형무소에서 옥고치르다가 8.15해방으로 풀려남.

1946년 교직입문

1984.4.1.-1986.8.31. 보령군 교육청 교육장 역임.

대전 유천, 대동국민학교장 역임 후 산내국민학교장 재직중 타계

충남교육서예가협회장 역임

한국교육자대상 수상

1991년 발간한 보령군지 교육부문 집필

 

5.맺는 말

개화기에 신지식인들이 나라가 기울어감을 한탄하며 사설 신식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새로운 문화를 가르치고 애국정신을 고취하였다.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이후에는 일제가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박해를 가하였으나 애국적인 지식인들은 끈임없이 교육을 통한 애국운동을 전개하였고 우리 보령에도 앞에서 밝혔듯이 3개소의 사설학교가 설립되어 운영되었던바 그 중 사립옥성학교에 관한 자료가 있어 여기에 소개하였다.

 

사립옥성학교는 불과 8년정도 운영하교 폐교되었으나 이 학교를 통해 상당수의 지역민들이 신지식과 애국정신을 배웠으니 주렴산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이종연(철원으로 개명)을 비롯하여 박태현, 최봉규 등 만세운동참여자들을 배출하였고,

주산지역에 교육열을 불어 넣어 보령에서 가장 먼저 중학교를 개교(1933)하고 8.15해방 후 1960년대 까지 주산이 충남 서남부지역 교육의 선진지가 되는 데 밑 걸음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옥성학교가 있던 옛터에 1986년 작은 비석을 세웠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땅 주인이 바뀌는 바람에 비석은 바로 옆의 산자락으로 옮겨졌고 그나마 이제는 돌보는 이도, 관심을 쓰는 이도 없이 잡초와 덩굴 속에 쓸쓸히 묻혀 있다.

풀과 덩굴속에 묻힌 모습

풀과 덩굴을 처낸 모습

'연구분야 > 향토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연도 나들이  (0) 2022.06.20
이야기투어참여  (0) 2021.11.14
보령문화 제 29집 발간기념 및 연구발표회  (0) 2020.12.12
주산면 화평리 2  (0) 2020.01.02
주산면 화평리1  (0) 2020.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