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수제도는 외적으로부터의 칩입 사실을 빠르게 중앙에 전하려는 통신수단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운영한 것으로 보이나 기록에는 조선시대만 나타나고 있다.
우리 보령지역에는 중앙으로 연결되는 봉수선로가 있어 3-4개소의 육지봉수대가 운영되었는데 시대에 따라 조금씩 봉수대의 위치가 변하는 바람에 8개소의 터가 남아 있고 섬 지역에서 충청수영으로 연결하는 권설봉수대가 5개소 있었다.
1.육지봉수대
봉수대이름 | 위치 | 산이름 | 비고 |
옥미봉봉수대 | 웅천두룡,수부,남포사현 | 잔미산 | 18세기경∼조선말 |
조침산봉수대 | 주교송학,은포 | 봉대산 | 조선초∼조선말 |
흥양곶봉수대 | 천북사호,장은 | 봉화산 | 조선초∼조선말 |
통달산봉수대 | 웅천소황,황교 | 통달산 | 16세기경∼18세기경 |
덕산봉수대 | 웅천죽청,독산 | 덕산봉 | 조선초∼16세기경 |
여도점봉수대 | ? | ? | 조선초∼16세기경 |
등경산봉수대 | 남포소송,제석 | 등경산 | 여도점? |
봉산봉수대 | 남포신흥,웅천두룡 | 봉산 | 기록없음 |
대천리산성봉수대 | 웅천대천,수부 | 잔미산맥 | 기록없음 |
※ 비인의 칠지산 봉수대에서 받아 우리지역을 거쳐 홍성고산봉수대로 전달하였다.
○조선초∼16세기경(세종실록지리지)
○16세기경∼18세기경(신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지)
※덕산봉수대가 없어지고 통달산봉수대가 생겼다.
○18세기경∼조선말(여지도서외 다수)
※통달산봉수대와 여도점봉수대가 없어지고 옥미봉봉수대가 생겼다.
2.권설봉수대(충청수영성에서 운용)
등경산봉수대,봉산봉수대,대천리산성봉수대와 권설봉수대5개소는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그 흔적들이 실제로 남아 전한다.
한편 여도점봉수대는 기록에는 나오나 장소가 어디인지 확실하지 않아 등경산봉수대가 아닌가하는 추정을 한다.
'연구분야 > 향토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교에서 강의하다. (0) | 2017.04.10 |
---|---|
문화원강의(보령의 산과 역사) (0) | 2016.09.21 |
보령문화 제24집 발간 (0) | 2015.11.23 |
'보령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재조명'학술대회를 보고 (0) | 2015.11.14 |
문화원 특강(주렴산독립만세운동 바로세우기)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