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의 대학시절 이야기 한토막 인도를 영국으로부터 독립시키고자 비폭력저항운동을 전개한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가 영국에서 대학을 다니던 때의 일화이다. 자신에게 고개를 숙이지 않는 식민지, 인도 출신인 학생 간디를 못마땅하게 여기던 ‘피터스’라는 교사 있었는데 하루는 대학 식당에서 그 교수 옆자리.. 고사, 명언 2018.04.07
[스크랩] 조선조의 청백리 맹사성의 일화 조선조의 청백리 맹사성의 일화 ◇충남 아산에 있는 고불(古佛) 맹사성 고택. 최영 장군이 살던 집으로 북향 명당집으로 유명하다. 10세 때 이사왔으며 고불은 최영의 손녀 사위다. ◇조선 세종 때의 재상인 고불(古佛) 맹사성 선생의 묘소. 1. * 고개를 숙이면 부딪히는 법이 없습니다 * 열 .. 고사, 명언 2013.02.20
[스크랩] 서오릉의 전설, 갈처사와 숙종대왕 西五陵의 傳說 ? 西五陵('명릉' 등 5개의 陵이 있음) *갈처사와 숙종대왕(명릉) * 숙종대왕이 수원성 고개 아랫쪽 냇가(지금 수원천 부근)를 지날 무렵 허름한 시골 총각이 관 하나를 옆에 놔두고 슬피 울면서 땅을 파고 있는게 아닌가. 상을 당해 묘를 쓰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파는 족족 물이 스며 나오.. 고사, 명언 2011.04.17
[스크랩] ♣행운을 불러오는 말♣ ♣ 행운을 불러오는 말 ♣ 행운은 행복을 끌고 다니고, 불운은 불행을 끌고 다닙니다. 행운과 불운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동전의 앞뒷면처럼 함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은 좋은날′ 하고 큰 소리로 외쳐보세요. 좋은 아침이 좋은 하루를 만듭니다. 거울을 보며 활짝 웃어보세요. 거울 .. 고사, 명언 2007.11.20
기쁨은행 "기쁨은행"을 만들어 봐요 "은혜는 바위에 새기고 원한은 냇물에 새기라"는 옛말이 있습니다. 또 "배우자의 장점은 나팔로 불고 단점은 가슴에 소리없이 묻으라"는 말도 있습니다. 부부가 살다보면 기쁜일도 있고 슬픈일도 있을 텐데 그 와중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기 위해서는 즐거운 일만을 기억하고.. 고사, 명언 2007.09.12
[스크랩] 작은 선(善)이라 가벼이 여기지 말라. 卍-오늘도 부처님 품에서 가피 충만 하세요.-卍 -작은 선(善)이라 가벼이 여기지 말라. - 작은 선(善)이라 가벼이 여기지 말라. 한 방울의 물이 비록 작아도 모이고 모여서 큰 그릇을 채우나니, 이 세상(世上)의 큰 행복(幸福)도작은 선(善)이 쌓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작은 재앙(災殃)이라 가볍게 여기지.. 고사, 명언 2007.08.11
칠보시(七步詩). 칠보시(七步詩). 조 식(曺植) 煮豆燃豆箕 豆在釜中泣 本是同根生 相煎何太急 삼국 시대의 영웅이었던 위와(魏王) 조조(曹操)는 문장 출신이었지만 건안(建安) 문학의 융성을 가져왔을 정도로 시문을 애호하여 우수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 영향을 받아서인지 맏아들인 비(丕:186∼226)와 셋째 아들인 식.. 고사, 명언 2007.07.01
보화탕과 건강십훈 삶의 명약 보화탕(保和湯) 1. 사무사(思無邪) : 나쁜 생각을 하지 말라. 2. 행호사(行好事) ; 착한 일을 행하라. 3. 막기심(莫其心) : 속이는 마음을 갖지 말라. 4. 행방편(行方便) : 사람을 좋은 길로 이끌라. 5. 수본분(守本分) : 자기의 분수를 지켜라. 6. 막질투(莫嫉妬) : 샘내거나 시기하지 말라. 7. 제교사(.. 고사, 명언 2007.05.28
안자의 지혜 중국의 공자, 맹자, 노자, 순자, 장자 . . .등 많은 인물 중에 안자(安子)라는 사람이 있었다. 중국의 사기(史記)를 쓴 사마천이 이르기를 “안자가 살아서 돌아온다면 나는 한평생 그의 말고삐를 잡고 살아도 영광으로 알겠다.” 라고 하였다고 하니 그의 인물 됨됨이를 가히 짐작할 수 있.. 고사, 명언 2007.05.12